728x90 Algorithm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준알고리즘] 9465번: 스티커 -Python [백준알고리즘] 9465번: 스티커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9465 9465번: 스티커 문제 상근이의 여동생 상냥이는 문방구에서 스티커 2n개를 구매했다. 스티커는 그림 (a)와 같이 2행 n열로 배치되어 있다. 상냥이는 스티커를 이용해 책상을 꾸미려고 한다. 상냥이가 구매한 스티커의 품질은 매우 좋지 않다. 스티커 한 장을 떼면, 그 스티커와 변을 공유하는 스티커는 모두 찢어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뗀 스티커의 왼쪽, 오른쪽, 위, 아래에 있는 스티커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모든 스티커를 붙일 수 없게된 상냥이는 각 스티커에 점 www.acmicpc.net 테스트 케이스 중에서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로부터 도움이 많이 됐다. 처음에는 함정에 걸..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2193번: 이친수 -Python [백준알고리즘] 2193번: 이친수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2193 2193번: 이친수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 한다. 이러한 이진수 중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을 이친수(pinary number)라 한다. 이친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이친수에서는 1이 두 번 연속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11을 부분 문자열로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10, 100, 101, 1000, 1001 등이 이친수가 된다. 하지만 0010101이나 101101은 각각 1, 2번 규칙에 위배되 www.acmicpc.net 이진수에서 0으로 시작하지 않는 N자리 수 중에서 1이 두 번 연속으로 등장하지 않는 수..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1057번: 오르막 수 -Python [백준알고리즘] 11057번: 오르막 수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7 11057번: 오르막 수 오르막 수는 수의 자리가 오름차순을 이루는 수를 말한다. 이때, 인접한 수가 같아도 오름차순으로 친다. 예를 들어, 2234와 3678, 11119는 오르막 수이지만, 2232, 3676, 91111은 오르막 수가 아니다. 수의 길이 N이 주어졌을 때, 오르막 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수는 0으로 시작할 수 있다. www.acmicpc.net 수의 자릿수가 주어지면 인접한 수가 같거나 오름차 순을 만족하는 수의 갯수를 구해야 한다. 이 문제는 동적 계획법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이전에 풀었떤 10844 쉬운 계단 수 문제와 유사하다. 여기서는..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0844번: 쉬운 계단 수 -Python [백준알고리즘] 10844번: 쉬운 계단 수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4 10844번: 쉬운 계단 수 첫째 줄에 정답을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이번 문제도 DP 문제이다. 처음에 생각했던 것과 코드로 작성한 것이 쪼끔 개념이 다르긴 한데, 전체적으로는 같다. 우선 계단 수에서 한 자릿수에 대하여 리스트에 저장해 놓았다. 그리고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값은 현재 해당 인덱스가 마지막 수, 즉 1의 자리 수일 때 가능한 수의 개수이다. 음.. 한 자릿수일 때가 아닌 두 자리 수일 때를 풀이해보면 이해가 될 것 같다. 한 자리가 늘어나게 될 때 1의 자리 수가 0이 되기 위해서는 앞자리가 1일 수밖..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2110번: 공유기 설치 -Python [백준알고리즘] 2110번: 공유기 설치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2110 2110번: 공유기 설치 첫째 줄에 집의 개수 N (2 ≤ N ≤ 200,000)과 공유기의 개수 C (2 ≤ C ≤ N)이 하나 이상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집의 좌표를 나타내는 xi (1 ≤ xi ≤ 1,000,000,000)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www.acmicpc.net 이분 탐색 문제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처음에는 N분탐색을 해야하는 문제인지 뭐로 해야하는 문제인지 갈피를 못 잡았었다.... 아직 알고리즘 분류를 모르면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 문제를 Binary Search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유기..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463번: 1로 만들기 -Python [백준알고리즘] 1463번: 1로 만들기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463 1463번: 1로 만들기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N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동적 계획법(DP)문제이다. 이제 이런 거에 연연하면 안 될 것 같은 게.... DP 문제임을 알게 되니까 당연히 케이스를 나눠서 해야지! 재귀를 부르고 Top-Down 형태로 할거야! 이런 식으로 생각이 들게 된다. 그런데 이 문제는 이런 방식으로 풀었더니 안됐다... 그러고 보니 -1이 자꾸 거슬렸다. -1 때문에 결국에는 1부터 N까지 모든 수의 최소 연산 수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초과가 뜬것이라 생각하고 Bottom-Up 형태로 1부터 ..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654번: 랜선 자르기 -Python [백준알고리즘] 1654번: 랜선 자르기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654 1654번: 랜선 자르기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고, N은 1이상 1,000,000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 N 이다. 그 후 K줄에 걸쳐 이미 가지고 있는 각 랜선의 길이가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입력된다. 랜선의 길이는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이분 탐색 문제이다. 점점 이분 탐색이 어려웠었다.. 아직은 어려운 게 아니지만.. 사실 처음에는 코드가 더 지저분했다 ㅎㅎ;; 다른 분들의 코드를 참고해서 수정하게 되었다. ..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0816번: 숫자 카드 2 -Python [백준알고리즘] 10816번: 숫자 카드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6 10816번: 숫자 카드 2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셋째 줄에는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이수도 -10,00 www.acmicpc.net 이분 탐색 문제이다. 하지만 이전 문제 "1920문제 수 찾기"에서 했듯..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