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준알고리즘] 4948번: 베르트랑 공준 -C++ [백준알고리즘] 4948번: 베르트랑 공준 -C++ 4948번: 베르트랑 공준 (acmicpc.net) 4948번: 베르트랑 공준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 www.acmicpc.net 소수 문제들은 다 비슷비슷한 것 같기도 하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해서 가능한 범위의 모든 수들의 소수 여부를 판단해주었다. 이후 입력되는 수에 대해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해 소수 판정을 한다. 주의할 점은 입력으로 들어오는 n이 1 이상 123456 이하라는 것이고, 문제에서는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929번: 소수 구하기 -C++ [백준알고리즘] 1929번: 소수 구하기 -C++ 1929번: 소수 구하기 (acmicpc.net) 1929번: 소수 구하기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www.acmicpc.net 소수 구하기 문제다. 이전 1978 소수 찾기 문제와 2581 소수 문제와 유사하다. 각 문제별 풀이는 아래와 같다. [백준알고리즘] 1978번: 소수 찾기 -Python, C++ (tistory.com) [백준알고리즘] 1978번: 소수 찾기 -Python, C++ [백준알고리즘] 1978번: 소수 찾기 -Python, C++ https://www.acmicpc.net/problem/1978 ..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644번: 소수의 연속합 -Python [백준알고리즘] 1644번: 소수의 연속합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644 1644번: 소수의 연속합 문제 하나 이상의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연수들이 있다. 몇 가지 자연수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3 : 3 (한 가지) 41 : 2+3+5+7+11+13 = 11+13+17 = 41 (세 가지) 53 : 5+7+11+13+17 = 53 (두 가지) 하지만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자연수들도 있는데, 20이 그 예이다. 7+13을 계산하면 20이 되기는 하나 7과 13이 연속이 아니기에 적합한 표현이 아니다. 또한 한 www.acmicpc.net 연속합 형태의 문제와 똑같이 풀어주나 소수를 구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다른 .. 더보기 [백준알고리즘] 1978번: 소수 찾기 -Python, C++ [백준알고리즘] 1978번: 소수 찾기 -Python, C++ https://www.acmicpc.net/problem/1978 1978번: 소수 찾기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다른 분들의 코드를 봤는데 너무 짧고 변수 명도 그냥 알파벳이라 보기 넘 힘들다 ㅠㅠㅠ 일단 다른분들은 나처럼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한 분들도 계셨고, 1부터 n까지 반복문을 돌면서 안에서 또 3부터? 반복문을 돌리면서 나눠 떨어지는지 확인함으로써 소수인지 판별해서 소수 리스트를 만들어서 사용한 분들도 계셨다. 아무튼 나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의 위키 링크이다. http.. 더보기 이전 1 다음